Etc./유용자료

UXUI 디자인 하며 알아둘 기초 용어

호기심 많은 코린이 2024. 6. 13. 11:15

 

#Page view, Unique view

1. PV(Page View)

-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앱에서 특정 페이지를 여는 횟수로 몇 번이나 그 페이지를 보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, 재방문 횟수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.

왜 알아야 할까?

- PV 통해 어떤 페이지가 가장 많이 열렸는지 확인하여 페이지 트래픽 및 인기 척도 파악 가능!

2. UV(Unique View)

- 특정 페이지를 여는 고유 사용자의 수를 의미. PV와 달리 중복되지 않는 순(Unique) 방문자를 의미

왜 알아야 할까?

- UV를 통해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사용자의 수를 파악하여 실제로 얼마나 다양한 사용자가 해당 페이지를 방문했는지 확인 가능

  • 한 방문자가 하나의 페이지에 여러번 방문했다 : 1UV 여러번의 PV 발생
  • UXUI에서의 활용 : 어떤 콘텐츠가 더 인기 있나 파악 후 해당 콘텐츠 최적화하여 사용자가 더 많은 페이지를 방문하도록 유도(콘텐츠 최적화)

#DAU, MAU, Retention

1. DAU/MAU(Daily/Monthly Ative user)

- 일간 / 월간 활성 이용자

왜 알아야 할까?

- 서비스 이용의 추세를 파악할 수 있고 user Engagement(유저 의존도) 지표로 활용 가능하다. 마케팅 진행시 DAU/MAU 증가를 통해 효과 측정 가능

2. 재방문율(Retention)

- 고객 서비스 재이용율. 

- 리텐션을 보기 위해 많이 쓰이는 분석법 중 하나는 Cohort Analysis(코호트)로 '동일한 성격을 가진 집단' 사용자의 행동을 추적한다.

왜 알아야 할까?

특정 기간에 가입한 사용자들의 행동을 분석함으로써, 이탈한 사용자들의 공통된 원인을 찾아낼 수 있다. 

예) 같은 달 가입한 사용자들이 1주일간 얼마나 방문하는지, 1달 뒤 앱 설치 잔존율은 어떻게 되는지 

  • UXUI에서의 활용 : 각 코호트 특징을 파악하여 해당 그룹에게 적합한 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.

#전환률, 이탈률

1. 전환율(Conversion Rate)

- 웹 / 앱을 방문한 사용자 중 특정 액션 (예: 회원가입, 결제 등)을 취한 사용자의 비율

왜 알아야 할까? 

- 어떤 디자인이나 기능이 사용자들에게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측정할 때 사용된다.

- 전환율이 낮은 경우, 그 이유를 파악하고 해당 부분을 개선함으로써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.

2. 이탈률(Bounce Rate)

- 첫 페이지만 방문하고 나가는 사용자의 비율

왜 알아야 할까?

- 이탈은 해당 페이지의 내용이나 디자인에 반응하지 않고 떠났다는 의미이므로 페이지 품질을 개선하는데 지표로 활용된다.

  • UXUI에서의 활용 : 전환률 높이고 이탈률 낮추기 위해 사용자 피드백 받고 디자인 및 기능 개선에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.

#ROAS, ROI (return은 순이익(profit)의 뜻으로 사용된 것)

1. ROAS(Return On Ad Spend)

- 광고수익률 : 광고비용 대비 매출액, 광고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했는가

- ROAS = (매출 / 광고비)

왜 알아야 할까? 

- 효율성 평가, 예산 관리

  • UXUI에서의 활용 : 광고 디자인을 직접한다기보다 광고에 활용된 제품이 내가 참여한 프로젝트였을 때 제품의 매력도나 회사에 가져다 준 이익을 성과로 측정 가능

2. ROI(Return on investment)

- 투자수익률 : 투자 대비 수익, 어떤 투자를 했을 때 얼마나 수익을 얻었는가

- ROI = (순이익(총 수익-투자비) / 투자비) x 100

왜 알아야 할까?

- 비즈니스 투자 판단, 자금 효율성 확인

  • UXUI에서의 활용 : 웹 / 앱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켜서 사용자가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더 많은 매출을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서 ROI를 높일 수 있다.

#ARPU, ARPPU

1. ARPU(Average Revenue Per User)

- 유저 1인당 평균 매출, 전체 매출을 전체 유저 수로 나눈 값

왜 알아야 할까?

- 수익성 평가 : ARPU를 통해 한 명의 사용자가 서비스에서 얼마의 가치를 가져오는지 파악하여 수익성 평가 가능

- 마케팅 전략 수단 : 다양한 유저 그룹의 ARPU를 비교하여 어떤 그룹이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확인하고, 이를 바탕으로 마케팅 전략 수립 가능

 

2. ARPPU(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)

-첫 페이지만 방문하고 나가는 사용자의 비율

왜 알아야 할까?

- 어떤 유저가 실제로 돈을 지불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, 결제 유저들의 가치를 이해하고 서비스를 최적화할 수 있다.

  • UXUI에서의 활용 : 
    • 1. ARPU를 높이기 위해 결제 프로세스 개선 후,  사용자 경로에 따른 효율적 디자인 제공해 사용자가 결제를 더 쉽게 할 수 있게 도움 줄 수 있음 ( 예: 간편계좌등록, 삼성페이...)
    • 2. ARPPU를 향상시키기 위해 일일 활성 유저에게 특별한 혜택 부여하는 기능을 디자인하여 사용자 만족도 높일 수 있음 (예: 일일룰렛)